바이오및뇌공학과 뇌인지 공학 프로그램

새소식

  • home_icon
  • 정보
  • 새소식

우리 학교 바이오및뇌공학과 최명철 교수팀이 최근 발표한 ‘마이크로튜불의 새로운 구조’에 관한 논문이 과학 분야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사이언스(Science) 퍼스펙티브(Perspective)에 지난달 28일 소개됐다.

 

퍼스펙티브는 전 세계의 학술지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논문을 선정해 재조명하는 섹션이다.

 

KAIST 송채연 박사와 최명철 교수, 미국 UC Santa Barbara의 Safinya교수와 Wilson교수, 이스라엘 Hebrew University의 Raviv교수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은 가속기 엑스선 산란장치(synchrotron x-ray scattering)와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마이크로튜불의 초미세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발견해 새로운 단백질 나노튜브 구조를 최초로 밝힌 연구결과를 네이처 머티리얼즈(Nature Materials)에 발표한 바 있다.


튜불린(마이크로튜불의 기본 단위체)의 형태 변화가 마이크로튜불의 구조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진은 이 형태 변화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찾음으로써 마이크로튜불의 새로운 크기와 형태의 구조를 발견했다.

 

사이언스 홈페이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 국내외 뇌 인지공학 전문가 KAIST에 모인다 admin 2015.09.23 45466
51 종양 전역에 약물 전달하는 항암치료나노기술 개발 admin 2015.04.06 45213
50 심장세포의 핵심 신호전달경로 스위치 규명 admin 2015.04.02 44586
49 대장조직의 숨겨진 암발생 억제 메커니즘 규명 admin 2015.04.02 44084
48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반응 원리 규명 - 암과 노화 극복의 실마리 제공 admin 2015.04.02 44067
47 실시간 조직검사 하는 초소형 현미경 개발 admin 2015.04.02 43808
46 신기루 현상 착안해 테라헤르츠파 광학렌즈 개발 admin 2015.04.02 43676
45 "富 대물림 않겠다" … 정문술 前 이사장, KAIST에 215억원 재 기부 admin 2015.04.02 43022
44 [서울경제] KAIST, 24일 뇌 인지공학 심포지엄 개최 admin 2015.09.23 42558
43 [베리타스알파] KAIST, 뇌 인지공학 심포지엄 admin 2015.09.23 42496
42 남윤기 교수, 한국바이오칩학회 신인학술상 수상 admin 2015.04.02 42089
41 단백질 나노튜브의 자기조립 분자스위치 발견 admin 2015.04.02 41876
» 최명철 교수팀 연구 성과, 사이언스지 퍼스펙티브에 소개 admin 2015.04.02 41342
39 Georgia Tech – Emory – KAIST Biomedical Engineering Faculty workshop file admin 2015.06.10 41278
38 [이뉴스투데이] "국내·외 ‘뇌 인지공학’ 전문가 KAIST에 모인다" admin 2015.09.23 39889
37 [조선에듀] 국내‧외 ‘뇌 인지공학’ 전문가 KAIST에 모인다 admin 2015.09.23 39792
36 [연합뉴스] '21세기는 뇌의 시대'…KAIST 뇌 인지공학 심포지엄 admin 2015.09.23 39517
35 [뉴스1] 국내·외 ‘뇌 인지공학’ 전문가 KAIST에 모인다 admin 2015.09.23 38663
34 뇌인지공학프로그램 석박통합(박) 신중한 학생 (지도교수:이상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에서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admin 2020.09.01 8418
33 이수현교수, 세계경제포럼 젊은 과학자(Class of 2020 Young Scientists) 선정 file admin 2020.08.04 67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